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GitLab
- Python
- NQ5
- 유닉스
- snort2.9
- VMware
- 보안컨설팅
- docker
- gns3
- 웹모의해킹
- 보안기사실기
- 정보보안산업기사
- 데이터모델링
- Bigdata
- M1
- 모의해킹
- 리눅스
- AI
- dreamhack.io
- 드림핵
- 스노트
- 리눅스보안
- 기아
- 정보보안
- 취약점진단
- NEXUS
- DreamHack
- 정보보안기사
- Snort
- Synology
- Today
- Total
Security_Analysis
[정보보안] OSI 7계층 간단 요약 본문
1계층 ( Physical Layer )
디지털 데이터 → 전기적, 광학적 신호로 변환하여 입출력을 담당하는 계층
- 주소 정보(MAC, IP)가 없기 때문에 목적지를 인식할 수 없고, 전기적인 신호만으로 연결된 모든 노드에 전달함
- 데이터 단위 : 비트(Bit)
※ 전기적인 신호만으로 연결된 모든 노드에 전달함 → 더미허브 역할
주요 장비
- 허브 : 들어온 신호를 연결된 모든 포트로 전달하는 중계 장치 ( 더미 허브 라고도 함 )
- 리피터 : 감쇠된 전송신호를 새롭게 재생하여 다시 전달하는 재생 중계 장치
스니핑
- 더미 허브에 연결된 모든 노드는 스니퍼를 통해 스니핑이 가능함
- 다만, NIC의 기본 동작모드가 자신을 목적지 주소로 하는 패킷이 아니면 모두 폐기하기 때문에 패킷을 볼 수 있지 않다
- NIC의 동작모드를 Promiscous Mode(무차별 모드) 로 변경할 경우, 목적지 주소가 관계없이 모든 패킷을 수신 가능하므로 스니핑이 가능함
2계층 ( Data Link Layer )
인접한 노드 간의 신뢰성 있는 프레임 전송을 담당하는 계층
- 주소정보(MAC)를 가지고 있음
- 최종 목적지 노드에 도달하기 위해서 각각의 노드에 프레임에 대한 주소 설정이 가능함
- IEEE 802에서 데이터링크 계층을 LLC 와 MAC 두개의 하위 계층으로 세분화
- 데이터 단위 : 프레임(Frame)
신뢰성 있는 전송을 위한 기능
- 흐름제어
- 송신 노드가 수신 노드의 처리 속도를 고려하여 이를 초과하지 않도록 전송을 제어
- 오류제어
- 전송과정 중에 여러 가지 원인(주파수 혼란, 감쇠, 잡음)에 의한 오류나 손실 발생 시 해결하기 위한 제어 방식으로 2가지 방식 존재
< 후진 오류 수정 방식 >
- (송신자)데이터전송시 오류를 검출할 수 있는 부가 정보를 함께 전송하고, (수신자)이를 점검하여 오류 발생시 재전송을 요청하는 방식 → ARQ
< 전진 오류 수정 방식 >
- (송신자)데이터 송신 시에 오류의 검출 및 수정까지 가능한 부가 정보를 담아서 보내므로, (수신자)재전송 요청이 필요하지 않음
- 회선제어
- 점 대 점, 다중점 회선 구성 방식, 단방향, 반이중, 전이중 등의 전송 방식에 따라 사용되는 전송링크에 대한 제어 규칙
주요 장비
- L2 스위치
- 스위치는 내부적으로 MAC Address Table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테이블에는 스위치 포트에 연결된 노드의 MAC 정보를 담고 있음
- 특정 포트를 모니터링한다면, 탭(TAP) 장비를 통해 패킷을 복제(미러링) 해서 트래픽 분석 장비로 전달
- 스니핑을 하기 위해서 "스위치 재밍", "ARP 스푸핑", "ARP 리다이렉트", "ICMP 리다이렉트", "스위치 SPAN/Monitoring Port 이용" 이 존재
- 브릿지
- 물리적으로 떨어진 동일한 LAN을 연결해주는 장비
주요 프로토콜
- Ethernet, TokenRing, FDDI, X.25, Frame Relay
3계층 ( Network Layer )
종단(End-To-End Delivery)간의 라우팅을 담당하는 계층으로 Host-To-Host Delivery 라고 함
- 주소정보(IP)를 가지고 있음
- 최종 목적지 노드에 도달하기 사용하는 논리적인 주소를 IP로 사용하며, 라우팅을 담당
- 라우팅 알고리즘에 의해 목적지로 전송하기 위한 최적의 경로를 설정 및 패킷을 교환하는 기능
- 데이터 단위 : 패킷(Packet)
주요 장비
- L3 스위치, 라우터
- 라우팅을 담당하는 장비
- 2계층의 BroadCast 와 MultiCast를 포워딩 하지 않음
- 서로 다른 VLAN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함
- 기본적인 보안 기능과 QoS 관련 기능을 지원함
주요 프로토콜
- IP(TCP/IP), IPX(Novel Netware)
4계층 ( Transport Layer )
종단(End-To-End Delivery)간의 신뢰성 있는 데이터전송을 담당하는 계층
- 각 End 노드의 해당 프로세스 간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전송 담당하는 계층
- 프로세스를 식별하기 위한 논리적인 주소가 필요로 함
- 주소정보로 포트(Port) 를 필요로 함
- 데이터 단위 : 세그먼트(Segment)
신뢰성 있는 데이터전송을 보장하기 위한 기능
- 분할(Segmentation)
- 조건에 따라 원본 데이터를 전송 가능한 세그먼트로 분할
- 재조합(Reassembly)
- 전송이 완료된 세그먼트들을 목적지에서 재조합하여 원본 데이터를 복원
- 연결제어(Connection Control)
- 연결지향(TCP), 비연결지향(UDP) 방식 제공
- 흐름제어(Flow Control)
- 상호 간 수신할 수 있는 만큼만 전송하여 데이터의 손실을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제어방식
- 오류제어(Error Control)
- 종단간 노드 전송 중에 오류 발생시 이를 교정하는 것
- 혼잡제어(Congestion Control)
- 네트워크 혼잡도를 계산하여 전송량을 제어하는 것
주요 장비
- L4 스위치
- 서버 로드밸런싱 기능을 제공
주요 프로토콜
- TCP, UDP, SCTP, SPX
5계층 ( Session Layer )
어플리케이션간 논리적인 연결인 세션의 생성, 관리, 종료를 담당하는 계층
- 데이터 단위 : 세션(Session)
- 데이터 단위 : 데이터
6계층 ( Presentation Layer )
데이터 표현방식 변환을 담당하는 계층
- 인코딩 / 디코딩
- 암호화 / 복호화
- 압축 / 압축해제
- 데이터 단위 : 데이터
7계층 ( Application Layer )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계층
- 서버 /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 데이터 단위 : 데이터
'[정보보안기사]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보안] 네트워크 대역폭 소진공격 (0) | 2023.11.19 |
---|---|
[정보보안] 포트 스캔(Nmap) (0) | 2023.11.11 |
[정보보안] 슈퍼데몬(inetd) vs 독립데몬(Standalon) (0) | 2023.10.21 |
[정보보안] Windows_로그감사 (0) | 2023.04.16 |
[정보보안] Unix/Linux_PAM 모듈 (0) | 2023.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