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정보보안
- 웹모의해킹
- NEXUS
- M1
- 취약점진단
- Snort
- 정보보안산업기사
- 보안기사실기
- 정보보안기사
- 보안컨설팅
- dreamhack.io
- VMware
- GitLab
- 모의해킹
- Synology
- 리눅스
- docker
- 스노트
- 기아
- Python
- DreamHack
- gns3
- 유닉스
- 드림핵
- AI
- 데이터모델링
- Bigdata
- NQ5
- snort2.9
- 리눅스보안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62)
Security_Analysis

나는 오늘(2025.03.02) 강릉에 방문했다. 아침 10시에 강릉에 도착했지만, 저녁 18시에 다시 집으로 돌아간다. 누군가에게는 하루 그저 드라이브 온 것이 될 수 있고, 또 누군가에게는 잠시 여행을 하러 온 것이 될 수 있다. 그렇지만, 나에게는 현실을 피하고 싶은 도피라는 생각밖에 들지 않았다. 최근에 나는 회사차량을 사용하다 교통사고를 냈다. 어떻게 보면 큰 사고라 할 수 있고, 또 어떻게 보면 큰 사고는 아니였다고 할 수 있지만내 과실이 100이였고, 아직도 피해를 보신분께는 죄송한 마음밖에 없다. 난 무려, 총 6명에게 피해를 준 것이다. 4명은 상대방 차에 타고 있던 운전자를 포함한 가족들은 한방병원에서 목과 허리 치료를 받았고, 1명은 회사차에 같이 타고 있던 회사 선배님..

KISA에서 제공중인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보안취약점 분석 평가 가이드" 에는 아래와 같은 항목이 있다. : W-09 : 불필요한 서비스 제거 : PC-04 : 불필요한 서비스 제거 해당 항목에서는 아래와 같이 약 18개의 일반적인 불필요한 서비스 목록을 제공하고 있다. 보안 취약점 점검을 하다보니, 일부 Windows 서버, PC 에서 공통적으로 활성화 되어있다고 출력되는 서비스가 존재한다. 그 중 특정된 2개에 대해서 조치가 불가능한 이유를 작성해볼까 한다. [ 1. Cryptographic Service ] Cryptographic Service는 "윈도우 파일의 서명을 확인하는 카탈로그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를 총괄" 한다고 한다. 윈도우 파일의 서명을 확인한다는 것이 중요한 Key Poin..
난 최근, 비공식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물론, 혼자할 수 있는 양이 아니여서, 회사내에서 그나마 능동적인 사람들을 찾아가 같이하자고 얘기했고, 동의를 얻어서 같이 진행했다. 그렇게 진행한 인원이 나를 포함해서 4명이다. 그렇게 열심히 프로젝트를 6개월간 진행했다. 소스코드도 다 만들었고, 데이터도 열심히 만들었기에 오탐 발생률은 2% 미만이었다. 4명 모두 흡족해했고, 만족 했으며, 조금만 더 가공하면 충분히 사용이 가능할 것이라 판단했다. 이렇게까지 오는데 무려 6개월이란 시간이 흘렀다. 최근, 나는 이 프로젝트의 최고 선임자였기에 회사에 보고 했다. 프로젝트를 진행한 4명 모두 동의했기에, 보고를 진행했고, 임원분들, 본부장님, 팀장님의 호의적인 평가와, 추후 지원해주겠다는 허락받았다. 그치..

2024.06.30일에 CentOS7가 종료되었다. Docker 를 사용해서 CentOS7를 설치해보니 `clear` 명령어가 존재하지 않아서 설치를 해보려고 하니 yum 패키지 설치를 하기 위한 Mirror list가 동작을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EOL 되면서 Mirror list도 막혀버린 것이다. 현재 날짜(24.07.14) 기점으로 CentOS 8 은 아직 EOL 되지 않았기 때문에 8버전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Mirror List를 변경해보았다. 먼저 /etc/yum/repos.d/ 경로에 있는 모든 파일을 backup 폴더에 백업먼저 하였다. 이후, CentOS-Base.repo 파일을 새로 만들었고, 해당 파일에 내용을 새로 추가했다. [base]name=CentOS-$rele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