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취약점진단
- 정보보안기사
- 드림핵
- NEXUS
- docker
- Snort
- 정보보안
- snort2.9
- M1
- 보안컨설팅
- Bigdata
- 리눅스보안
- dreamhack.io
- 웹모의해킹
- AI
- Synology
- 보안기사실기
- VMware
- 스노트
- 기아
- 정보보안산업기사
- 데이터모델링
- NQ5
- 유닉스
- DreamHack
- 모의해킹
- Python
- GitLab
- gns3
- 리눅스
- Today
- Total
목록[정보보안기사] Study (12)
Security_Analysis
감사 항목 개체 엑세스 : 감사안함(0) 파일, 디렉터리, 레지스트리, 프리터 등의 객체에 대한 접근 성공/실패 여부를 기록할지를 결정 계정 관리 : 실패(2) 계정 관리 이벤트를 감사할지 여부를 결정하며, 사용자 계정 또는 그룹의 생성, 변경, 삭제, 암호의 설정 및 변경 등의 이벤트 성공/실패 로그를 기록 계정 로그온 이벤트 : 성공, 실패(3) 도메인 계정에 대한 로그온 성공/실패 관련 이벤트 로그를 기록할지를 결정 권한 사용 : 실패(2) 권한 사용의 성공 및 실패를 감사할 경우, 사용자 권한을 이용하려고 할 때마다 이벤트 생성하는 로그 디렉터리 서비스 액세스 : 실패(2) AD 개체의 시스템 액세스 컨트롤 목적(SACL)에 나열된 사용자가 해당 개체에 액세스를 시도할 때 이벤트 생성 로그온 이벤..
PAM 모듈 PAM(Pluggable Authentication Modules) 리눅스 시스템 내에서 사용되는 각종 애플리케이션 인증을 위해 제공되는 다양한 인증용 라이브러리로써, 리눅스 로그인, Telnet, FTP 등 각종 프로그램 사용시에 PAM을 통해 인증을 처리할 수 있다. PAM 모듈을 사용함으로써, 인증 방식 및 정책의 유연성과 중앙 통제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PAM 라이브러리 경로 /etc/pam.d : PAM 라이브러리를 이용하는 각 응용 프로그램의 설정 파일이 존재하는 경로 /lib/security : PAM 라이브러리가 제공하는 다양한 인증 모듈들이 위치하는 경로 /etc/security : PAM 모듈 실행에 필요한 추가 설정파일이 위치하는 경로 PAM 설정 Type accou..
위험관리 위험의 구성요소 : 자산 / 위협 / 취약점 / 정보보호대책 위험 : 위협과 취약점을 이용하여 자산에 손실 및 피해를 가져올 가능성을 의미 자산 : 조직이 보호해야 할 대상 위협 : 자산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사건 혹은 행위 취약점 : 위협이 발생하기 위한 조건 혹은 상황 위험평가 : 정보 혹은 정보처리기기에 대한 위협의 종류, 영향, 발생 가능성을 평가하는 행위 위험관리 : 자산에 대한 위험을 분석하고, DoA를 유지하는 것 위험관리계획 : 선택한 통제 목적, 방안이 무엇인지, 선택한 이유등을 문서화 하는 것 위험분석 : 자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위협과 취약성, 위험을 식별분류하고, 잠재적 손실에 대한 영향분석하는 것 위험대응 : 위협에 대응하여 자산을 보호하기 위한 관리 · 물리 ·..
예약작업(crontab) crontab : 주기적으로 작업을 실행하기 위한 작업스케줄러 30 4 1 2 * root cp /etc/passwd1 /etc/passwd - 30 : 분 ( 0 ~59 ) : 00분 ~ 59분 - 4 : 시 ( 0 ~ 23 ) : 0시 ~ 23시 - 1 : 일 ( 1 ~ 31 ) : 1일 ~ 31일 - 2 : 월 ( 1 ~ 12 ) : 1월 ~ 12월 - * : 요일 ( 0 ~ 7 ) : 월(1) / 화(2) / 수(3) / 목(4) / 금(5) / 토(6) / 일(0,7) - root : 해당 작업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 cp /etc/passwd1 /etc/passwd : /etc/passwd1 파일을 /etc/passwd 파일로 복사함. - l ..